챗GPT 가입 5억명 돌파…이미지 생성 인기 속 서버 과부하까지
OpenAI와 ChatGPT 로고 (출처: Reuters)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가 출시 2년 4개월 만에 누적 가입자 수 5억 명을 넘어섰다. 오픈AI는 지난달 말 기준 가입자 수가 5억 명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말 3억5000만 명에서 불과 3개월 만에 30% 넘게 증가한 수치다. 이는 올해 말까지 목표로 한 10억 명의 절반을 이미 넘어선 것이다.
이같은 급증세는 최근 오픈AI가 공개한 다양한 신규 AI 모델들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1월에는 고급 추론이 가능한 소형 AI 모델 ‘o3 mini’를, 2월에는 최신 버전인 ‘GPT-4.5’를 연구용으로 미리 선보였다. 여기에 사용자의 요청을 바탕으로 장보기나 보고서 작성 등을 도와주는 AI 에이전트 ‘오퍼레이터’, 복잡한 인터넷 기반 조사 작업을 수행하는 ‘딥리서치’까지 등장하면서 사용성 측면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
특히 지난달 25일 출시된 이미지 생성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폭발적인 반응을 끌고 있다. 이 모델은 지브리 스튜디오를 포함한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 디즈니, 심슨 가족 등 친숙한 애니메이션 화풍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유료 사용자뿐 아니라 무료 이용자도 하루 최대 3장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다는 점도 확산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폭증하는 사용자 수에 따라 시스템 과부하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지난달 31일 X(옛 트위터)를 통해 “지난 한 시간 동안 100만 명의 사용자가 새로 유입됐다”며 챗GPT 출시 초기 100만 명 확보에 5일이 걸렸던 것과 비교해 비약적인 증가세라고 밝혔다. 이어 27일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사용자 급증에 따른 서버 과부하가 심각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그는 같은 날 “상황은 통제 중이지만, 새 모델 출시가 서버 용량 문제로 늦어지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올트먼 CEO는 “일부 기능이 중단되거나 서비스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며 “가능한 빠르게 안정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그는 “GPU 10만 개를 확보할 수 있는 사람은 지금 당장 연락해 달라”고 공개적으로 요청하며,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인프라 확보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을 드러냈다.
한편 오픈AI는 유료 이용자만 접근 가능한 ‘딥리서치’를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픈AI 엔지니어 이사 풀포드는 최근 웹캐스트에서 “딥리서치는 조만간 무료 이용자에게도 제공될 예정”이라고 전하며 정확한 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딥리서치는 이용자가 지시한 주제에 대해 인터넷을 검색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해 리서치 전문가 수준의 보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AI 에이전트다.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PDF 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자료를 통합해 결과를 도출한다.
오픈AI는 최근 일본 소프트뱅크가 주도한 400억 달러(약 59조 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이로 인해 오픈AI의 기업 가치는 지난해 10월 1570억 달러에서 약 두 배에 가까운 3000억 달러(약 442조 원)로 평가됐다. 전례 없는 성장 속도와 기술 확장성, 그리고 대중적 흡인력이 맞물리면서 챗GPT는 AI 시장에서 그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