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케일, 주요 암호화폐 포함된 현물 ETF 전환 추진
암호화폐로 구성된 비상장 펀드에서 상장 ETF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그레이스케일 (출처: Grayscale)
자산운용사 그레이스케일이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들을 포함한 인덱스 펀드를 상장지수펀드(ETF)로 전환하기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관련 서류를 제출했다. 이는 미국에서 암호화폐 ETF 시장 확대 움직임이 다시 한 번 본격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1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은 SEC에 S-3 양식의 신고서를 접수했다. S-3 양식은 기존 비상장 펀드를 거래소 상장 ETF로 전환할 때 요구되는 공식 절차다. 이번 신청의 대상은 2018년에 설립된 '그레이스케일 디지털 대형주 펀드'로, 이 펀드는 현재까지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상태다.
이 펀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XRP, 카르다노 등 다섯 종목의 암호화폐로 구성된 지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운용 자산 규모는 6억 달러를 넘는다. 지금까지는 공인 투자자에게만 제공돼 왔지만, ETF로 전환될 경우 일반 투자자들도 시장에서 해당 상품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그레이스케일의 이번 조치는 뉴욕증권거래소 아카(NYSE Arca)가 지난해 10월 말, 해당 인덱스 펀드의 상장을 위한 허가를 SEC에 요청한 데 따른 후속 절차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 내 다양한 자산군을 포괄하는 ETF 출시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SEC는 지난해 12월 해시덱스와 피델리티가 공동으로 운용하는 첫 번째 혼합형 암호화폐 ETF에 승인을 내린 바 있다. 해당 ETF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난달 정식 출시됐지만 초기 유입 자금은 제한적이었다.
이번 그레이스케일의 ETF 전환 시도는 보다 폭넓은 암호화폐 자산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으로 시장의 관심을 끌 가능성이 높으며, 규제 당국의 반응에 따라 암호화폐 ETF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분기점이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