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엔화가 美경기 침체·관세 헤지 수단"
미국의 관세와 경기 침체에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엔화 (출처: Bloomberg)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도입을 앞두고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엔화 강세 전망을 내놓았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기 둔화와 관세 리스크에 따른 안전자산 수요 확대를 배경으로, 달러 대비 엔화 환율이 올해 140엔대 초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현재 환율인 149엔 후반대보다 약 7% 높은 엔화 가치로, 블룸버그 집계 애널리스트들의 연말 평균 전망치인 145엔보다도 더 강한 수준이다.
골드만삭스의 외환·금리·신흥시장 전략 총괄인 카막샤 트리베디는 인터뷰에서 “미국의 실질금리와 주식시장이 함께 약세를 보일 경우, 엔화가 가장 좋은 성과를 내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들어 미국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엔화가 다시 유력한 헤지 수단으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발표로 시장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외환시장에서의 반응은 더욱 빠를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상호관세 도입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는 미국 경제 성장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실제로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연 2회에서 3회로 상향 조정했고, 미국 증시에 대한 연말 전망치도 S&P500 기준 6200에서 5700으로 낮췄다.
트리베디는 관세 자체보다 미국의 고용 시장 등 핵심 경제 지표가 향후 달러와 엔화 움직임을 결정할 핵심 변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지표가 부진할 경우 외환 투자자와 글로벌 시장은 미국의 성장 둔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며 “이럴 때 엔화는 매우 강력한 방어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의 마크 크랜필드 전략가는 “일본은행이 장기국채 매입을 줄이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도 미일 금리차 축소를 유도하며 엔화 강세 압력을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모든 투자자들이 같은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일부 헤지펀드는 여전히 엔화 약세에 베팅 중이며, 지난 몇 년간 금리 차이로 인해 지속된 엔화 하락 추세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해 7월에는 엔/달러 환율이 1986년 이후 최고치인 161.95엔까지 치솟은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드만삭스는 현재처럼 미국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엔화가 다시금 가장 강력한 피난처로 떠오를 수 있다고 진단한다. 시장은 트럼프의 통상정책과 미국 주요 경제지표의 향방을 주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 흐름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