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0% 전면 관세 발표 예고…글로벌 무역전쟁 우려에 시장 출렁"
세계를 상대로 무역전쟁을 선포한 트럼프 (출처: NYT)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현지시간) 오후 4시 백악관에서 새로운 관세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트럼프는 이날을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하며, 전 세계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최대 20%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무역 정책 변경을 넘어 미국과 주요 교역국 사이의 전면적인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은 즉각적인 보복 조치를 예고하며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트럼프는 "자유무역협정이 미국 제조업과 노동시장에 피해를 입혔다"며 연간 3조 달러 규모의 수입 시장에 대한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중국산 제품에 20%, 캐나다와 멕시코 제품에 25%의 관세를 적용 중이다. 러시아를 비롯한 다른 국가들도 추가 제재 대상으로 거론되면서 글로벌 시장은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식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은 동반 하락세를 기록 중이며,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 회피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무디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크 잔디는 "이번 관세 정책이 장기화되면 미국 내 550만 개의 일자리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을 35%로 상향 조정했고, 비트코인을 포함한 고위험 자산의 추가 폭락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트럼프는 이번 관세 부과가 국가 안보 강화와 제조업 회복, 세수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정책이 19세기 말 이후 가장 강력한 보호무역 조치가 될 수 있다며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고 있다.
일부 국가들은 선제 대응에 나섰다.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검토 중이며, EU와 일본도 유사한 방안을 논의 중이다. 반면 이스라엘은 미국과의 관계 악화를 피하기 위해 자국 내 미국산 제품 관세를 철폐하기로 했다.
최종 발표 내용이 어떻게 될지는 아직 불확실하지만,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본격화되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이번 발표가 가져올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